“쉬어가는 시간도 반죽의 일부다” - 멈춤이 주는 힘
반죽을 하다 보면,어느 순간 손이 멈춘다.처음에는단지 팔이 아파서 쉬는 줄 알았다.하지만시간이 지나면서 깨달았다.그 멈춤의 시간,바로 그때 빵이 숨을 쉬기 시작한다는 것을. 빵을 만드는 과정에서‘쉬어가기’는 단순한 휴식이 아니다.치대고, 당기고, 접어 올리며 긴장했던 반죽 속에온기가 스며들고,밀가루와 물, 소금, 효모가서로를 알아가는 순간이기도 하다.사람의 손이 멈추면,반죽은 스스로의 리듬으로 움직인다.그 고요한 시간 속에서반죽은 자신만의 결을 만들고, 또 단단해진다. 이 시간을 무시하고 서두르면,겉은 그럴듯해도속은 허무한 빵이 된다.빵뿐만 아니라사람도 그렇지 않을까?쉬어야 다시 단단해지고,잠시 멈춰야 다음 걸음을 내디딜 힘이 생긴다. 나는 오븐 옆에서 그 사실을 자주 떠올린다.열기와 소음 속에서도 ..
더보기
“추석 이후의 식탁” - 가족, 그리고 나눔의 온기
명절이 지나고 나면,집 안은 한결 조용해진다.북적이던 식탁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고,남은 전과 과일, 송편 몇 개가명절의 흔적처럼 남아 있다.하지만 그 잔잔한 풍경 속에서나는 늘 ‘빵 굽는 마음’을 떠올린다. 빵을 굽는다는 건어쩌면 명절의 마음을 일상으로 이어가는 일이다.누군가를 위해 준비하고,기다리고, 나누는 그 과정 자체가가족의 식탁과 닮아 있다.오븐 속에서부풀어 오르는 반죽을 바라보는 시간은솥 위에서 보글보글 끓던 명절 음식의 냄새와 겹쳐진다. 추석이 지나면,나는 남은 재료로 새로운 빵을 구워본다.밤, 단호박, 무화과, 쌀가루 같은 재료들.계절의 풍성함이남긴 흔적들을 버리지 않고,다시 새로운 맛으로이어가는 그 시간은마치 식탁 위의 온기를 다시 살려내는 일처럼 느껴진다. 어쩌면 빵은,끝이 아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