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담다브레드의 정직한 재료 이야기 - ⑦ 견과류 "고소하고 건강한 맛, 작은 한 알에서 시작돼요" 빵을 먹을 때아삭하고 고소한 식감이 입 안에서 톡 터질 때가 있어요.그럴 땐 그 순간이유독 더 맛있고, 더 오래 기억에 남아요.그 비밀이 뭔지 아세요? 바로 견과류예요.호두, 아몬드, 캐슈넛, 해바라기씨, 호박씨 등등작고 조용한 재료지만,빵 안에서는 누구보다 선명한 존재감을 가진 친구들. 담다브레드가 고르는 기준 견과류는겉으로 보기엔 다 비슷해 보여도,속은 전혀 다를 수 있는 재료예요. 그래서 담다브레드는직접 맛보고, 직접 비교해가며 고릅니다.너무 오래된 건 아닌지볶는 과정에서 기름 맛이 강하게 나진 않는지씹었을 때 쩍쩍 갈라지는 건 아닌지이런 것들을 꼼꼼히 확인해요.그리고 가능하면소금이나 설탕으로 가공되지 않은 ‘무가공’ 상태의 견과류를 선택해요.조금.. 더보기
건강한 빵은 왜 중요할까요?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내가 매일 먹는 빵, 정말 괜찮은 걸까?”처음 빵을 만들기 시작했을 땐그저 맛있는 빵을 만들고 싶었어요.고소하고, 부드럽고, 예쁜 빵.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거라 생각했죠.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달라졌어요.빵을 굽는 일은 단지 맛을 내는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됐거든요. 어떤 재료를 쓰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가그 빵을 먹는 사람의 하루를 바꿀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담다브레드는 조용히 질문하기 시작했어요. “매일 먹는 이 빵, 정말 괜찮은가요?” 그 질문이 담다브레드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매일 먹는 음식은, 내 삶을 조금씩 바꿔요 건강한 빵은 어느 날 갑자기 필요해지는 음식이 아니에요.우리가 매일 먹는 식사의 일부이고,아침을 시작하는 첫 조각이.. 더보기
담다브레드의 정직한 재료 이야기 - ⑥ 오일 “버터보다 오일을 더 자주 쓴다는 것” - 기름 이야기 빵을 만들다 보면반죽에 기름을 넣어야 할 때가 있어요.촉촉한 식감, 부드러운 풍미, 그리고 입안에서 퍼지는 고소함까지‘기름’은 생각보다 많은 역할을 하죠.담다브레드는 늘 이렇게 고민해요.“이왕 넣어야 하는 재료라면, 어떤 기름이 우리에게 더 좋은 선택일까?” 버터도 오일도, 기준은 ‘몸에 부담이 적은 것’ 버터는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소중한 재료예요.특유의 고소하고 깊은 풍미는 분명 매력적이죠.그래서 담다브레드도 그 맛이 필요할 때는 버터를 사용합니다.하지만 우리는 더 자주해바라기씨유, 포도씨유, 그리고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오일을 선택해요. 이 식물성 오일들은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고 트랜스지방이 없으며,무엇보다 몸에 부담이 덜한 기름이기 때문이에.. 더보기
바게트를 굽고, 기다림을 배우다 처음 바게트를 반죽하던 날이 아직도 또렷해요.조용한 주방 안, 작은 그릇에 담긴 소금과 이스트, 밀가루 그리고 물두 손으로 꾹꾹 눌러가며 섞던 반죽의 온기.그날 저는 마음속으로 수없이 물었어요. “과연 이게 빵이 될까?” 처음이라 뭐든 어색하고, 모든 과정이 낯설었어요.반죽은 질고, 손에 달라붙고,모양은 전혀 바게트 같지 않았죠. “왜 이렇게 오래 걸리지?” 그때 저는 몰랐어요.바게트는 성격이 급한 사람에게 참 어려운 빵이라는 걸요.천천히 부풀어야 하고,잠깐이라도 서두르면금세 빵이 다 알아차린다는 걸.오븐에 넣기 전 마지막 발효 시간을 못 참고조금 일찍 굽기 시작했던 날,결과는 딱 그만큼 부족했어요.속이 덜 찬 듯하고, 바삭한 껍질도 없었죠. 바게트는 마음을 굽는 빵이에요 시간이 지나고,실패를 몇 번.. 더보기
담다브레드의 정직한 재료 이야기 - ⑤ 우유와 유제품 "우유를 꼭 써야 할까?" - 유제품 이야기 빵을 만들다 보면,어느 순간 이런 고민이 들어요.“우유를 꼭 써야 할까?”우유는 분명 좋은 재료예요.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더해주고,촉촉함도 만들어주니까요.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그 풍미는빵에도 분명 특별한 역할을 해요. 하지만 담다브레드는,‘늘 쓰는 재료’보다는 ‘꼭 필요한 재료’를 쓰고 싶어요.그래서 유제품도 아주 신중하게 바라봅니다. 유제품은 언제나 '선택'의 문제 담다브레드에서는우유, 버터, 생크림 같은 유제품을가능하면 줄이고, 꼭 필요한 빵에만 씁니다. 예를 들어,우유가 있어야 더 부드러워지는 어떤 브리오슈 계열의 빵이나고소한 풍미가 중요한 레시피에는 유제품을 사용해요.하지만 대부분의 빵에서는두유, 물, 오일 등으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먼저 고민합.. 더보기
첫 수업의 기억 빵을 처음 배웠던 날을 지금도 또렷이 기억해요.긴장 반, 설렘 반으로 가득했던 어느 평일 저녁. 하얀 앞치마를 둘러메고, 생소한 재료들과 마주 앉았죠.사실 그날 저는 빵이 ‘나랑 맞을까?’ 하는 걱정을 안고 있었어요.처음 해보는 거라 더더욱 그랬죠요리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손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어쩌면 ‘괜한 도전을 한 건 아닐까?’ 생각도 들었죠.한편으로는 '그냥 도망칠까?' 생각도 했답니다. “밀가루가 내 손 안에서 살아 움직이는 느낌” 첫 수업에서 만든 건 가장 기본적인 식빵이었어요.손으로 반죽을 치대고, 발효를 기다리고, 성형하는 과정을 따라갔죠.선생님이 한마디 하셨던 게 유독 기억에 남아요. “빵 반죽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다뤄야 해요.” 그 말을 듣고 나서부터였어요.밀가루와 물, 소금.. 더보기
담다브레드의 정직한 재료 이야기 ④ 당 "달콤함, 그 이상을 담다 " 빵에는 ‘달콤함’이 꼭 필요합니다.그 달콤함은 단순히 혀끝을 자극하는 맛 그 이상으로,마음을 녹이고 기분을 부드럽게 풀어주는 따뜻한 감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단맛’이 우리의 몸에 부담이 된다면,그건 우리가 바라는 달콤함과는 조금 거리가 멀지 않을까요? 담다브레드는 이렇게 생각해요 담다브레드는“맛있는 빵 = 건강한 빵”이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 합니다.그래서 설탕은 꼭 필요한 만큼만 넣어요.지나친 단맛은 줄이고, 재료 고유의 맛을 살리는 방향으로 빵을 만듭니다. 때로는 자연스러운 단맛을 가진 재료예를 들어, 건과일이나 견과류, 통밀의 고소한 단맛 등을 활용해조금 더 건강하고 풍부한 맛을 추구하기도 해요. 기준이 없는 .. 더보기
담다브레드의 정직한 재료 이야기 ③ 천연 발효종 “기다림이 만들어낸 맛, 천연 발효종”빵을 만들다 보면, 자주 마주하게 되는 단어가 있어요.바로 “기다림”입니다.빵은 오븐에 들어가기 전부터, 기다림으로 자라납니다.그 중심엔 천연 발효종이 있어요. 자연에서 얻은 생명, 발효종담다브레드에서 사용하는 발효종은밀가루와 물, 그리고 시간을 재료로 합니다.별다른 첨가물 없이도,공기 중에 떠다니는 자연 효모와 유산균이천천히 반죽 안에서 깨어나는 거죠.이렇게 살아난 효모는,빵을 부풀게 하고, 깊은 풍미를 만들어냅니다.그 과정은 하루 이틀로 끝나지 않아요.짧게는 3일, 길게는 7일을 넘기기도 해요.하지만 그 기다림은 절대 헛되지 않아요. 시간의 흔적이 남긴 깊은 맛빨리 부풀고 보기 좋게 만드는 이스트 대신,천연 발효종은 오랜 시간 숙성하면서빵에 고유의 산미와 향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