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다브레드 이야기

[담다브레드] 작은 변화가 만든 새로운 결 빵을 만든다는 건, 늘 같은 것 같지만 사실은 조금씩 다릅니다.똑같은 레시피, 같은 재료, 익숙한 손길이었는데도,어느 날은 빵결이 더 부드럽고, 또 어느 날은 풍미가 다르게 느껴지곤 합니다.그럴 때마다 저는 멈춰서 생각해봐요.“무엇이 달랐을까?” 1도, 1그램, 1분의 차이담다브레드의 빵은 늘 정직한 재료로 만듭니다.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작은 디테일’에 대한 민감함이에요. 예를 들어,하루는 반죽 수분율을 1% 줄여봤더니,굽고 나서 식감이 살짝 더 단단해졌어요.또 하루는 발효 시간을 10분 더 길게 두었더니,겉은 더 바삭하고 속은 놀라울 만큼 부드러웠어요. 이 작은 차이들이빵결을 바꾸고,씹을 때의 여운을 만들고,입안에서 느껴지는 풍미를 바꾸는 걸 알게 됐어요. 그 작은 변화는, 나를 바꾸기도 .. 더보기
“굽지 않아도 배우는 날” - 반죽이 없는 날, 더 많이 배우는 시간 빵을 굽지 않는 날이 있어요.손에 밀가루도 묻지 않고, 반죽 소리도 들리지 않는 하루.오븐도 쉬고, 나도 잠시 멈추는 날이죠.그런데 신기하게도,그런 날들이 오히려 가장 많이 배우는 날이 되곤 해요. 손이 멈출 때, 마음이 일어나는 시간반죽을 쉬게 하듯,나도 잠시 마음을 쉬게 해요.좋은 빵이란 무엇인지,나는 어떤 마음으로 이 일을 시작했는지,어떤 사람에게 어떤 빵을 주고 싶은지—그런 생각들이, 고요한 틈을 타고 마음 깊숙이 찾아오죠.굽지 않아도, 나는 계속 담다브레드가 되어가고 있어요. 가게 앞을 서성이며,이웃 빵집을 들여다보며,시장 골목을 걷다가 들리는 오래된 장인의 손끝 소리를 들으며~굽지 않는 하루에도‘배움’은 사방에 흩어져 있어요.빵을 구워야만 빵을 배울 수 있는 건 아니더라고요.가끔은 멀리서 .. 더보기
“언젠가 열릴 그 문을 상상하며 - 공방의 하루를 그려보다” 아직 열리지 않은 문이 하나 있어요.그 문 너머엔, 내가 오랫동안 꿈꿔온 "담다브레드 공방" 이 있죠.지금은 회사 책상에 앉아 일하지만,잠깐 눈을 감으면 그 공간이 선명하게 떠올라요.아직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지만,이미 나만의 빵 냄새와 온기가 그곳에 머물고 있는 것 같아요. 이른 아침, 반죽이 숨 쉬는 소리하루는 아침 일찍 시작돼요.불 꺼진 새벽의 키친에서,조용히 반죽을 꺼내어 손으로 눌러봅니다.살짝 탄 듯한 고소한 향이,기름기 없는 벽에 은은히 퍼지고기계가 아닌 손으로 반죽을 접을 때,그 안에 내 마음도 천천히 녹아들죠.“오늘은 어떤 빵을 만들까?”손님보다 내가 먼저 기대하는 아침입니다. 낮에는 빵보다 사람을 굽는 시간문이 열리고,처음 오는 손님이 조심스레 들어와요.“여기… 빵이 참 담백하네요... 더보기
담다브레드 이야기 - 이름에 담긴 마음 "왜 '담다 브레드' 일까요?"이름을 정하는 건,작은 씨앗을 심는 일 같았어요.무엇을 담아야 오래도록 자라날 수 있을까..그 질문 하나로 며칠을 고민했던 기억이 나요. 그날도 늦은 밤이었어요.메모장엔 수십 개의 이름 후보가 적혀 있었고,한쪽 오븐에선 막 반죽을 마친 빵이 익어가고 있었죠.하루의 고단함이 밀려오던 그때,오븐에서 나는 고소한 냄새가 마음을 스르르 풀어주었어요.그 향기 속에서 문득 떠올랐어요. “이 빵엔 참 많은 걸 담고 있구나…”재료 하나하나에 담긴 선택,버터 대신 오일을 쓰는 이유,가공되지 않은 재료를 고르는 고민,그리고 무엇보다 누군가를 위한 진심. 담다 - 마음을, 재료를, 사람을‘담다’라는 단어는단순히 넣는다는 의미가 아니었어요.조금 더 정성스럽고, 따뜻하게 품는 느낌.그 단어 하나.. 더보기
[담다브레드] 아직 굽지 못한 나만의 빵 빵을 굽기 시작하고 나서나는 ‘굽는 것’보다 ‘머릿속에 오래 품는 것’이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하루하루 반죽하고,구워내고, 다시 배우고,그 과정을 반복하면서도마음속에 한 가지 빵을 오래도록 품고 있었습니다.아직 그 빵은 모양도 없고,이름도 없고,레시피도 없어요.하지만 제 안에는 분명히 존재하는 빵이에요. 그 빵은 아주 소박하고,그리 특별하지 않을지도 몰라요.화려한 토핑도, 멋진 장식도 없고,그저 고소하고 따뜻한 냄새로 주방을 채우는 빵. 하지만 그 빵을 굽는 날에는마음이 평온해지고,내가 굽는 이유를 다시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아요.그 빵은 누군가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빵이었으면 좋겠고,기억 속 엄마의 손맛처럼단단하지만 부드러운 위로가 되었으면 해요. 나는 아직 그 빵을 굽지 .. 더보기
좋은 재료란 무엇인가.. 담다브레드가 재료를 고르는 기준빵을 만들며 가장 자주 하는 생각이 있어요.“정말 좋은 재료란 무엇일까?”값이 비싼 재료?유기농 마크가 붙은 재료?아니면 유명한 산지에서 온 것?정답은 하나가 아니었어요.담다브레드가 생각하는 좋은 재료란,"누가 먹어도 괜찮고, 매일 먹어도 부담 없는 재료" 예요. ‘건강’을 말하지만 ‘맛’도 포기하지 않기 건강을 생각한 빵이라고 해서건조하고 퍽퍽한 맛이어야 한다는 생각은담다브레드와 맞지 않았어요. 우리는 몸에 편한 재료로도 충분히 맛있는 빵을 만들 수 있다고 믿어요.그래서 건강과 맛 사이에서 늘 균형을 고민한답니다.소금을 고를 때도,설탕을 줄일 때도,버터 대신 오일을 선택할 때도,늘 기준은 같았어요.“매일 먹는 사람의 몸에, 이건 괜찮을까?” 유행보다, 내 기준을 따르.. 더보기
건강한 빵은 왜 중요할까요?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내가 매일 먹는 빵, 정말 괜찮은 걸까?”처음 빵을 만들기 시작했을 땐그저 맛있는 빵을 만들고 싶었어요.고소하고, 부드럽고, 예쁜 빵.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거라 생각했죠.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달라졌어요.빵을 굽는 일은 단지 맛을 내는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됐거든요. 어떤 재료를 쓰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가그 빵을 먹는 사람의 하루를 바꿀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담다브레드는 조용히 질문하기 시작했어요. “매일 먹는 이 빵, 정말 괜찮은가요?” 그 질문이 담다브레드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매일 먹는 음식은, 내 삶을 조금씩 바꿔요 건강한 빵은 어느 날 갑자기 필요해지는 음식이 아니에요.우리가 매일 먹는 식사의 일부이고,아침을 시작하는 첫 조각이.. 더보기
담다브레드가 빵에 담고 싶은 이야기 : 중심 재료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담다브레드 빵을 굽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제가 왜 ‘건강한 빵’을 만들기로 마음먹었는지,그리고 담다브레드가 어떤 재료를 중심에 두고 빵을 구워갈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해요. 요즘은 정말 맛있는 빵들이 많아요.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럽고, 한입 베어 물면 달콤하고 고소한 풍미가 입 안 가득 퍼지죠.하지만 그 맛 뒤에 어떤 재료들이 쓰였는지, 얼마나 많은 당분과 첨가물이 들어가는지우리는 종종 놓치고 지나가곤 해요. 저는 조금 다른 길을 가고 싶었어요.‘맛있으면서도, 먹고 나면 마음까지 편안한 빵’을 만들고 싶었죠.누군가에겐 속 편하게 먹을 수 있는 빵, 누군가에겐 아이와 함께 나눠 먹어도 걱정 없는 빵, 누군가에겐 바쁜 하루 속 잠깐의 여유가 되어주는 빵. 그래서 담다브레드는자연에 가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