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빵을 배우다

“화면 너머의 빵, 손끝의 온도” -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 사이에서 요즘은 무엇이든‘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다.빵을 만드는 일도 예외는 아니다.좋아하는 제빵사가 영상을 통해 반죽을 보여주고,발효의 포인트를 설명해주는 세상이다.덕분에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언제든 배울 수 있다는 건 참 고마운 일이다. 하지만 이상하게도,아무리 잘 만들어진 강의를 봐도그 반죽의 **“질감”**은 화면 너머에서 닿지 않는다.지금 이 손끝에 느껴지는 온기,살짝 늘어나는 글루텐의 탄력,그 모든 건 오프라인 수업 속에서야 비로소 배워졌다. 처음 오프라인 수업을 들었을 때,강사님의 손이 반죽을 다루는 방식이 달랐다.영상에서 보던 움직임보다 훨씬 더 부드럽고,때로는 망설임 없이 단단했다.그 리듬을 눈앞에서 보자“아, 반죽도 사람의 마음을 닮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온라인 수업이 ‘지식’을 .. 더보기
“반죽의 실패가 알려준 것들”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위로 처음 반죽을 배울 때,나는 반죽이 내 마음을 그대로 비춘다고 생각했다.손끝이 망설이면 반죽도 거칠어지고,조급하면 금세 질어버리고,온도가 조금만 달라도 결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어느 날이었다.유난히 습한 날씨에 반죽이 전혀 말을 듣지 않았다.물을 조금 덜 넣었나 싶어 다시 조정했지만,결국 오븐 앞에 선 나는 속이 텅 빈 빵을 꺼내 들고 한참을 바라봤다.겉은 그럴듯했지만,속은 허공처럼 비어 있었다.그때의 공허함은 오래 남았다. 하지만 며칠 뒤, 선생님이 웃으며 이렇게 말씀하셨다.“빵은 완벽하지 않아도 돼요.다만 그날의 마음이 담겼다면, 그게 이미 좋은 빵이에요.” 그 말이 내 안에서 천천히 부풀었다.나는 그제야 알았다.빵이 완벽해야 하는 게 아니라, 그 과정 속의 나를 이해하는 게 더 중요하다.. 더보기
“불과 향의 대화” - '브랑제리 가마'에서 배운 온도의 철학 빵집의 문을 열자마자느껴지는 건 단순한 구운 빵의 향이 아니었다.‘따뜻함’이라는 단어가 향으로 존재한다면, 아마 이런 냄새일 것이다.부드럽게 퍼지는 버터 향,천천히 구워지는 밀의 고소함,그리고 그 사이를 조심스레 조율하는 오븐 온도(불)의 숨결이 있었다. 브랑제리 가마의 공간은 조용했다.기계음 대신,반죽이 부풀어 오르는 소리와돌 오븐이 ‘후욱’ 하고 숨을 내쉬는 듯한 온도가 공간을 채우고 있었다.그곳의 장인들은 말이 적었다.대신 그들의 손끝은온도를 읽고, 색을 보고, 냄새로 시간을 맞췄다.온도계를 들고 있지 않아도그들은 “이제 됐어요” 하고 말할 줄 아는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날 나는 깨달았다.‘불’은 단순히 굽는 도구가 아니라, 빵의 성격을 완성하는 언어라는 것을.조금만 세면 표면이 타고, .. 더보기
“빵을 만들며 배운 균형” - 손과 마음의 무게 맞추기 빵 반죽을 하다 보면,생각보다 자주 ‘균형’이라는 단어를 떠올리게 됩니다.손의 힘, 반죽의 수분,발효의 시간, 오븐의 온도.어느 한쪽으로 기울면,빵은 금세 제 기질을 드러내죠. 너무 세게 반죽하면 질겨지고,너무 약하면 탄력이 없습니다.발효가 지나치면 신맛이 돌고,덜 되면 속이 익지 않죠. 그 사이를 찾는 일이야말로,빵을 굽는 사람이 매일 새롭게 배워야 하는 일 같습니다. 처음에는 기술로 해결하려 했습니다.정확한 온도, 시간, 반죽 강도, 습도를 기록하며‘정답’을 찾고 싶었어요.하지만 어느 날,똑같은 조건으로 반죽했는데도빵의 결과가 다르게 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그날따라 마음이 복잡했고,손끝이 조금은 조급했습니다.그 작은 차이가반죽에도 그대로 전해진 것이었죠.그때 깨달았어요 ~빵의 균형은 ‘기술의 정.. 더보기
발효의 향기를 처음 맡던 날 - 빵이 살아난다는 것의 의미 처음 반죽을 만들어 놓고기다리던 그날을 또렷하게 기억합니다. 밀가루와 물,소금, 그리고 작은 발효종을 섞어 놓고덮개를 덮었을 때는솔직히 아무런 기대도 없었어요. 그저‘과연 이게 빵이 될까?’하는 의문뿐이었죠. 그런데 몇 시간이 지나 덮개를 살짝 걷는 순간,작은 기적이 제 눈앞에 펼쳐졌습니다.차분히 잠들어 있던 반죽이서서히 숨을 쉬고 있었어요. 작은 기포들이 보글보글 올라와 표면을 간질이고,손끝으로 만져보니이전보다 말랑말랑하고 따뜻한 느낌이 전해졌습니다. 그 순간,반죽이 단순한 밀가루 덩어리가 아니라시간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는 생명체처럼 느껴졌습니다. 발효에서 나는 향은 참 묘합니다.처음에는 새콤하고 낯선 냄새에 고개를 갸웃했지만,곧 고소한 곡물 냄새와 어우러지며마치 오랜 친구처럼 따뜻하게 다.. 더보기
시간과 손길이 만든 결, 크루아상 이야기 크루아상을 처음 반죽했을 때를잊을 수 없습니다.버터와 반죽을 여러 번 접어 올리며,그 속에 층층이 시간이 쌓여가는 것을 보았지요. 손끝은 힘들었지만,밀대에 눌리고 펴지는 반죽은마치 작은 숨결을 품은 듯 살아 움직였습니다. 크루아상은 단순히 빵이 아닙니다.반죽과 버터를 반복해 접는 라미네이팅 과정은마치 한 장 한 장 이야기를 쓰는 것과도 같습니다. 서두르지 않고 차가운 휴식 시간을 주어야만,결이 고운 층들이 살아납니다.그 기다림이 없으면크루아상은 결코 바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낼 수 없습니다. 구워진 크루아상을 오븐에서 꺼낼 때면,바삭한 결이 반짝이며 햇살을 머금은 듯 빛납니다.한 입 베어 물면,겹겹이 쌓인 시간과 정성이 입안에서 무너져 내리고,고소한 버터 향이 퍼집니다. 그 순간 깨닫게 됩니다.빵은.. 더보기
작은 실패가 알려주는 큰 배움 빵을 배우다 보면,누구나 한 번쯤은 실패를 겪습니다.발효가 덜 되어 딱딱해진 반죽,오븐에서 너무 오래 구워 타버린 빵,혹은 레시피대로 했는데도 원하는 맛이 나오지 않을 때.저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습니다.첫 수업에서 바게트를 만들었을 때였죠.반죽도 나름 매끈하게 된 것 같아 뿌듯했는데,오븐에서 꺼내보니 기대했던 바삭함은커녕무겁고 질긴 바게트가 되어 있었습니다. 속이 차갑게 식은 듯 촉촉하지도 않았고, 맛은 그저 밍밍했습니다.그날 저는 ‘빵 굽기가 이렇게 어려운 일이구나’라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처음에는 그 실패들이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왜 나는 이렇게 서툴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죠.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깨달았습니다.실패는 단순히 결과가 아니라 과정 속의 선.. 더보기
빵을 배우는 순간, 기술보다 마음이 먼저 빵을 배우다 보면늘 놀라운 사실을 하나씩 하나씩 깨닫습니다. 기술은 책에서 배울 수 있고,손의 감각은 시간이 쌓이며 익숙해지지만,결국빵을 대하는 태도와 마음이 가장 먼저 자리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처음 빵을 배우러 갔을 때저는 오븐의 불 조절이나 발효 시간 같은기술적인 부분이제일 중요할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은 늘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빵은 정직합니다. 대충 한 건 대충 드러나고, 정성껏 한 건 정성대로 보여줘요.” 그 말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었습니다. 밀가루와 물,소금, 이스트 혹은 발효종이 단순한 재료들이 만나 빵이 되기까지는, 사람의 마음과 태도가 고스란히 반영됩니다. 반죽을 대하는 손길이 거칠면 빵도 거칠어지고, 조급한 마음으로 시간을 줄이면 맛도 얕아집니다. 반대로 차분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