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빵을 배우다

빵을 배우는 길, 천천히 걸어도 괜찮다

처음

빵을 배우기 시작했을 때

저는 늘 마음이 급했습니다.

 

‘빵을 빨리 잘 만들어야지.’
‘사람들에게 금방 보여줄 수 있어야지.’

 

이런 생각으로

반죽을 서두르고,

발효 시간을 줄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언제나 부족했지요.

덜 익은 속살,

금세 굳어버리는 식감,

무너져버린 모양새. 결국,

조급했던 마음이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선생님이 이런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빵은 네 속도를 따라가지 않아. 네가 빵의 속도를 따라가야지.”

 


그 한마디가

제 마음에 깊이 남았습니다.

 


 

 

빵을 배우는 길

누구와 경쟁할 필요가 없는 길입니다.


누군가는 빠르게 새로운 레시피를 익히고,

멋진 모양의 빵을

뚝딱 만들어낼 수 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제가 걷는 속도가 있습니다.

반죽을 느끼는

손끝의 감각, 발효를 기다리며

배워가는 인내,

오븐 앞에서 설레는 눈빛.

이 모든 과정이 천천히 쌓여야만 제 것이 됩니다.

 


 

 

빵은 기다림의 산물입니다.
발효라는

긴 시간을 견뎌야 하고,

굽는 순간까지도 마음을 졸여야 합니다.

 

그 과정이 힘들고 답답하게 느껴지지만,

사실은 그 안에서

‘제 속도’를 배우게 됩니다.

 

누군가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나만의 리듬을 찾는 일.

그것이야말로 빵이 주는 가장 큰 가르침 아닐까요?

 

 


 

 

저는 이제 생각합니다.
빵을 배우는 길은

천천히 걸어도 괜찮다고.

 

오히려 천천히 걸을 때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깊게 느낄 수 있다고요.

 

실패와 시행착오 모두 그 길의 일부이며,

그것마저 제 빵을 완성시키는

소중한 자양분이 됩니다.

 


 

 

담다브레드가

지향하는 길도 다르지 않습니다.
빠르게 성공을 보여주기보다는,

차근차근 한 걸음씩 쌓아가려 합니다.

 

작은 빵 하나에도

제 시간이 녹아 있고,

그 안에 담긴 인내와 성실이

결국 빵의 맛으로 이어질 거라 믿습니다.

 

빵을 배우는 길은 평생의 길입니다.


그래서

오늘도 저는 서두르지 않고,

제 속도대로 걷습니다.

 

그리고

이 길 위에서 만나는 모든 순간을,

빵처럼 따뜻하게 오래 간직하고 싶습니다.

 

 

빵을 굽는 남자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