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을 배우다 보면
늘 놀라운 사실을 하나씩 하나씩 깨닫습니다.
기술은 책에서 배울 수 있고,
손의 감각은 시간이 쌓이며 익숙해지지만,
결국
빵을 대하는 태도와 마음이 가장 먼저 자리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처음 빵을 배우러 갔을 때
저는 오븐의 불 조절이나 발효 시간 같은
기술적인 부분이
제일 중요할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은 늘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빵은 정직합니다.
대충 한 건 대충 드러나고, 정성껏 한 건 정성대로 보여줘요.”
그 말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었습니다.
밀가루와 물,소금, 이스트 혹은 발효종
이 단순한 재료들이
만나 빵이 되기까지는,
사람의 마음과 태도가 고스란히 반영됩니다.
반죽을 대하는 손길이 거칠면
빵도 거칠어지고,
조급한 마음으로 시간을 줄이면
맛도 얕아집니다.
반대로 차분히 기다리고,
온 마음으로 반죽을 돌보면
빵은 그만큼 풍성한 향과 맛을 내줍니다.
물론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기술은 기본이자 최소한의 약속 같은 것입니다.
하지만
그 위에 쌓이는 건 결국
빵을 대하는 마음가짐입니다.
기다림을 존중할 줄 아는 태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다시 반죽을 치대는 끈기,
빵을 통해 누군가를 웃게 하고 싶은 마음.
이 모든 것들이 모여 한 덩어리의 빵을 완성합니다.
그래서 저는 여전히 배우는 과정 속에 있지만,
빵을 만들 때마다
제 마음을 먼저 들여다보려 합니다.
오늘은 조급하지 않은가,
반죽을 충분히 기다려줄 수 있는가,
빵을 먹을 사람을 떠올리며 구웠는가.
기술보다 마음이 먼저라는 사실,
그것이 빵을 배우며 얻은 가장 소중한 깨달음입니다.
빵을 굽는 남자 올림
'빵을 배우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과 손길이 만든 결, 크루아상 이야기 (0) | 2025.09.17 |
---|---|
작은 실패가 알려주는 큰 배움 (0) | 2025.09.12 |
연남동에서 배운 크로와상의 태도 - 크로와상랩 방문기 (1) | 2025.09.03 |
빵을 배우는 길, 천천히 걸어도 괜찮다 (1) | 2025.09.01 |
도구 욕심과 현실 차이 (4)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