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담다브래드

[빵을 배우다] 런던 베이글 뮤지엄, 그 안에서 발견한 것들 조금은 이른 아침.평일인데도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서울 종로, 오래된 골목에 자리 잡은 런던 베이글 뮤지엄은단순한 빵집이 아닌, "경험하는 공간" 이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곳이었다. 첫 느낌 - 마치 전시장을 걷는 기분 입구부터 베이글 향이 퍼진다.내부는 꼭 브런치 갤러리 같았다.하나하나 연출된 소품들, 유럽 감성의 키친웨어,그리고 갓 구워낸 베이글이 진열된 모습까지. 누군가에겐 ‘과한 연출’일지도 모르지만,그만큼 ‘정성’이 느껴졌다.브랜딩이 얼마나 중요한지,그게 사람의 기억에 얼마나 오래 남는지 새삼 실감했다. 빵 - 단단한 철학이 보이는 베이글가장 먼저 플레인 베이글과 트러플 에그 베이글,그리고 크림치즈 몇 가지를 골랐다. 놀랐던 건,겉은 정말 바삭한데 속은 쫄깃하게 살아있다는 것.‘이 정.. 더보기
이스트 vs 천연발효 - 담다브레드는 어디쯤일까요? 빵을 배우기 시작했을 때처음으로 혼란스러웠던 단어가 '이스트'와 ‘천연발효종'이었어요.어떤 수업에서는"이스트는 인공적이고 좋지 않다"고 했고,또 다른 곳에서는"천연발효종은 어렵고 까다롭다"고 했죠. 처음엔 무조건 천연발효가 더 건강한 거 아닐까? 생각했어요.느리지만 자연스럽고,시간을 들인 만큼 더 좋은 맛이 날 거라고 믿었거든요.하지만 직접 반죽하고, 발효시키고, 굽는 시간을 지나면서조금씩 생각이 달라졌어요. 이스트는 빠르고 정확하게 이스트는 효모를 인공적으로 배양한 재료예요.빠른 시간 안에 반죽을 부풀게 해줘서시간이 부족할 때나 안정적인 결과가 필요할 때 정말 고마운 존재죠. 또한 이스트로 만든 빵은균일한 식감, 깔끔한 맛을 내기에 적합해요.그래서 아침식사용 식빵이나 바삭한 바게트를 만들 때 유용하게.. 더보기
[담다브레드] 아직 굽지 못한 나만의 빵 빵을 굽기 시작하고 나서나는 ‘굽는 것’보다 ‘머릿속에 오래 품는 것’이더 어려울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하루하루 반죽하고,구워내고, 다시 배우고,그 과정을 반복하면서도마음속에 한 가지 빵을 오래도록 품고 있었습니다.아직 그 빵은 모양도 없고,이름도 없고,레시피도 없어요.하지만 제 안에는 분명히 존재하는 빵이에요. 그 빵은 아주 소박하고,그리 특별하지 않을지도 몰라요.화려한 토핑도, 멋진 장식도 없고,그저 고소하고 따뜻한 냄새로 주방을 채우는 빵. 하지만 그 빵을 굽는 날에는마음이 평온해지고,내가 굽는 이유를 다시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아요.그 빵은 누군가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빵이었으면 좋겠고,기억 속 엄마의 손맛처럼단단하지만 부드러운 위로가 되었으면 해요. 나는 아직 그 빵을 굽지 .. 더보기
첫 수업의 기억 빵을 처음 배웠던 날을 지금도 또렷이 기억해요.긴장 반, 설렘 반으로 가득했던 어느 평일 저녁. 하얀 앞치마를 둘러메고, 생소한 재료들과 마주 앉았죠.사실 그날 저는 빵이 ‘나랑 맞을까?’ 하는 걱정을 안고 있었어요.처음 해보는 거라 더더욱 그랬죠요리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손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어쩌면 ‘괜한 도전을 한 건 아닐까?’ 생각도 들었죠.한편으로는 '그냥 도망칠까?' 생각도 했답니다. “밀가루가 내 손 안에서 살아 움직이는 느낌” 첫 수업에서 만든 건 가장 기본적인 식빵이었어요.손으로 반죽을 치대고, 발효를 기다리고, 성형하는 과정을 따라갔죠.선생님이 한마디 하셨던 게 유독 기억에 남아요. “빵 반죽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다뤄야 해요.” 그 말을 듣고 나서부터였어요.밀가루와 물, 소금.. 더보기